헬스장 소득공제 2025년 최신 정보

2025년 7월부터 헬스장과 수영장 이용료도 소득공제 대상이 되었습니다. 주변에서 헬스장을 많이 다니는만큼 건강도 챙기고 소득공제도 받고, 일석이조 인데요, 이번 글에서는 헬스장 소득공제 조건, 신청 방법 등 관련 정보를 쉽게 요약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헬스장 소득공제 썸네일

 

헬스장 소득공제, 무엇이 달라졌나?

기존에는 도서, 공연, 박물관, 영화 등 문화생활 관련 비용만 소득공제 대상이었습니다.

하지만 2025년 7월 1일부터는 헬스장, 수영장 등 체육시설 이용료도 문화비 소득공제에 포함됩니다.

이제 운동하면서 쓴 비용도 연말정산에서 세금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소득공제 대상과 조건

구분내용
대상자총급여 7,000만 원 이하 근로소득자 (프리랜서 근로소득자 포함)
적용 시설헬스장, 수영장, 피트니스센터, 요가·필라테스 등 등록된 체육시설
공제율이용료의 30%
공제 한도연 300만 원 (기존 문화비·대중교통비·전통시장비와 합산)
적용 시기2025년 7월 1일 이후 결제분부터 적용
  • 강습비(PT, 수영 레슨 등)는 원칙적으로 제외되며, 시설 이용료와 강습비가 구분되지 않을 경우 전체 금액의 절반만 공제 대상으로 인정됩니다.
  • 등록된 사업장에서 결제한 금액만 소득공제 가능합니다. 반드시 “문화비 소득공제 등록 사업자”인지 확인해야 합니다.

 

헬스장 소득공제, 어떻게 신청하나요?

1. 등록 사업장 확인

결제 전, 해당 헬스장이나 수영장이 문화비 소득공제 등록 사업자인지 꼭 확인하세요.
– 공식 문화비 소득공제 누리집에서 사업장 검색 가능.

 

문화비 소득공제 누리집 사이트로 이동

 

2. 카드 또는 현금영수증 결제

신용카드, 체크카드, 현금영수증으로 결제해야 국세청에 자동으로 자료가 전달됩니다.

 

3. 연말정산 자동 반영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에서 자동으로 공제 내역이 반영됩니다. 별도 서류 제출 없이 간편하게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실제 계산 예시

– 월 10만 원씩 1년(120만 원) 헬스장 이용
→ 120만 원 × 30% = 36만 원 소득공제

– 헬스장+PT 등 구분 불가 결제 200만 원
→ 200만 원 × 50% = 100만 원(공제 대상)
→ 100만 원 × 30% = 30만 원 소득공제

– 연 300만 원 초과 사용 시
→ 300만 원까지만 소득공제 대상, 초과분은 불가.

 

자주 묻는 질문

Q: 모든 헬스장이 공제 대상인가요?

A: 아니요. 지자체에 신고된 체육시설법 대상이면서, 문화비 소득공제 등록 사업자여야만 적용됩니다.

 

Q: PT, 필라테스, 골프레슨 등은 공제되나요?

A: 1:1 강습비는 제외됩니다. 단, 이용료와 강습비가 구분되지 않으면 절반만 공제 대상입니다.

 

Q: 총급여 7천만 원 초과자는?

A: 아쉽게도 소득공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Q: 현금 결제도 되나요?

A: 반드시 현금영수증을 발급받아야만 소득공제가 가능합니다.

 

헬스장 소득공제 꿀팁

– 결제 전 사업장 등록 여부 확인
문화비 소득공제 누리집에서 1분 만에 확인 가능.

– 이용료와 강습비 분리 결제
혼합 결제 시에는 시설 이용료와 강습비를 분리해서 결제하면 더 많은 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연말정산 전 소비 내역 관리
한도 초과나 중복 공제 방지를 위해, 연중 소비 내역을 꼼꼼히 체크하세요.

 

마치며

2025년부터 달라진 헬스비 소득공제 제도로 건강도 챙기고, 연말정산에서 세금도 아껴보시기 바랍니다. 운동을 시작하기 전, 꼭 등록 사업장 여부 확인과 결제 방식을 체크하는 것만 잊지 마시구요. 이제 헬스장, 수영장 이용료도 절약하면서 건강을 챙기세요. 지금까지 헬스장 소득공제 2025년 최신 정보를 알아보았습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만성표재성위염 이란? 건강검진 시 대부분 나오는 그것

무릎에 물찼을때 조치 방법은? 왜 물이 찰까?